안녕하세요.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을 돕는 전문 컨설팅 업체 '정책자금연구소 바름' 입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
A : 알고 계신 내용과 다른 정보 때문에 혼란스러우셨겠네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해당 글의 내용은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질문자님께서 알고 계신 내용이 정확하며, 국내 상장 ETF는 보유 기간에 따른 세금 차이가 없습니다.
국내 주식형 ETF의 정확한 세금 구조
국내 주식형 ETF는 국내 상장 주식과 동일하게 취급됩니다. 따라서 양도소득세는 부과되지 않으며, 매매 시 발생하는 세금은 증권거래세가 유일합니다.
증권거래세:
2025년 기준 0.18%
이 세금은 주식을 팔 때 발생하며, 매도 금액의 일정 비율로 부과됩니다. 이익 여부와 관계없습니다.
양도소득세:
국내 주식형 ETF는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참고로,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나 채권형 ETF의 경우, 매매 시 이익에 대해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됩니다. 이 역시 보유 기간과는 무관합니다.
매매수수료: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온라인 거래 시 0.01% 내외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이것 역시 세금은 아닙니다.
1년 미만 보유 시 22% 세금의 정체
질문자님께서 보신 **'1년 미만 보유 시 22% 세금 부과'**라는 내용은 주식 양도소득세와 관련된 내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주주의 주식 양도세:
대주주 요건을 충족하는 투자자가 국내 주식을 양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보유 기간 1년 미만: 양도차익의 30%
보유 기간 1년 이상: 양도차익의 20%
여기에 지방소득세 10%가 추가되어 각각 **33%**와 **22%**가 됩니다.
파생상품 양도세:
선물, 옵션 같은 파생상품 양도 시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이익금에 대해 **양도소득세 11%**가 부과됩니다.
결론적으로, 해당 아티클이 국내 주식형 ETF에 대해 언급했다면 잘못된 정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아마도 국내 상장 주식 중 대주주의 세금 규정을 국내 주식형 ETF와 혼동했거나, 작성자가 세금 규정을 정확히 알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형 ETF를 매도할 때 발생하는 세금은 **증권거래세 0.18%**가 전부입니다. 안심하고 투자하셔도 됩니다.
"마지막으로 드리는 말씀"
2025년 정책자금예산은 30조이지만, 많은 대표님들이 몰라서 못받고 계십니다. 정책자금 컨설팅 및 진단이 필요하시다면 프로필 혹은 네이버에 정책자금연구소 바름이라고 검색해주세요. 최저 2% 최대 100억까지 가능한 정책자금, 대표님들에게 맞는 최적화 자금을 찾아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드리겠습니다.
* 채택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피빈 콩은 모두 이웃을 위해 기부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